북한 포병부대, 남북도로 폭파 준비 정황
북한, 남북 연결 도로 폭파 준비
북한이 남한 무인기의 평양 침투를 이유로 전방 지역 8개 포병부대에 완전 사격 준비 태세를 명령했습니다. 이는 240㎜ 방사포와 170mm 자주포 등 장사정포를 운용하는 전방부대가 수도권을 겨냥하는 임무를 맡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북한은 8개 포병여단을 13일 오후 8시까지 사격 대기 태세로 전환시키라고 지시했습니다.
남북 연결 도로 폭파 준비
북한군은 남북을 잇는 동해선과 경의선 북측 지역에서 도로 파괴를 위한 준비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완전 단절 후 요새화'를 선언한 북한의 후속 조치로 보입니다. 합동참모본부는 북한군이 도로에 가림막을 설치하고 그 뒤에서 작업하는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김여정, 한국 비난 강화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사흘째 담화를 발표하며 평양 무인기 사건의 주범이 대한민국 군부라고 주장했습니다. 한국을 개에 비유하며 북한 주권 침해에 대한 책임을 미국에 돌렸습니다. 노동신문도 무인기 침투에 대한 주민들의 분노를 전하며 대남 적대 선동을 이어갔습니다.
합참, 대북 경계 강화
합동참모본부는 대북 감시 경계와 화력 대기 태세를 강화하는 지침을 예하부대에 내렸습니다.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해 만반의 준비 태세를 갖추고 있습니다.
민주당, 국민의힘과 손잡나? 공수처 협력 가능성
공수처 국정감사: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과 명태균 씨 연루 의혹 둘러싼 여야 공방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공수처 국정감사에서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과 명태균 씨를 둘러싼 의혹을 놓고 여야 간 격렬한 공방이 펼쳐졌습니다. 민주당은 공수처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며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에 대한 압수수색을 요구했습니다. 특히, 대선 경선 당시 명태균 씨가 윤석열 후보 측에 여론조사 결과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정치자금법 위반 의혹이 있다며 당선 무효형 가능성까지 언급했습니다. 반면, 국민의힘은 공수처의 무능력한 수사를 비판하며 민주당과의 협업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또한, 공수처의 수사 기밀 누설 문제를 지적하며 "잘 하는 건 수사상 기밀 누설"이라고 꼬집었습니다.
법제처 국정감사: '이재명 대표 방탄용' vs '거부권 행사 제한' 논쟁
법제처 국정감사에서는 국민의힘이 '법 왜곡죄' 등을 '이재명 대표 방탄용'이라고 주장하며 공세를 펼쳤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이해충돌 소지가 있는 거부권 행사를 제한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이완규 법제처장과 충돌했습니다. 이 처장은 대통령의 재직 중 재판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학설상 논란이 있다. 말하기 곤란하다"고 답변하며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습니다.
핵심 내용 요약:
공수처 국정감사에서는 김건희 여사 명품백 수수 의혹과 명태균 씨 관련 의혹이 쟁점으로 떠올랐습니다. 민주당은 공수처의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며 김건희 여사에 대한 압수수색을 요구했지만, 국민의힘은 공수처의 무능력한 수사를 비판하며 민주당과의 협업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법제처 국정감사에서는 국민의힘이 '법 왜곡죄'를 '이재명 대표 방탄용'이라고 주장한 반면, 민주당은 이해충돌 소지가 있는 거부권 행사 제한을 요구하며 이완규 법제처장과 충돌했습니다.
연세대 논술 시험지 유출 논란
연세대 논술 시험, 휴대폰 촬영 논란으로 뜨겁다
지난 12일 치러진 연세대학교 논술 시험에서 문제지 유출 의혹이 제기되면서 큰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자연계열에서는 감독관의 실수로 문제지가 1시간 일찍 배부되었다가 회수되는 일이 발생했고, 인문계열에서는 수험생들이 시험 중 휴대폰으로 문제지를 촬영한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특히 인문계열 시험에서는 문제지를 회수하기 전에 수험생들이 휴대폰으로 문제지를 찍은 사진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와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연세대, 재시험은 없다는 입장
연세대학교는 사진들이 시험 종료 후 불법적으로 찍은 것으로 추정되고 공정성을 훼손시킬 만한 행위는 없었다며 재시험은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사진을 찍어 인터넷에 올린 사람들을 모두 특정했으며, 처리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일부 학부모들은 시험의 공정성이 훼손되었다며 재시험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연계열에서는 1시간 일찍 문제지를 받은 학생들이 불리한 상황이기 때문에, 재시험을 실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입시 업계, 재시험 불가피하다?
입시업계에서는 재시험이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습니다. 특정 수험생에게 1시간 전에 시험 문제를 인식시켜줬다면 사실상 유출로 봐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빠르게 재시험을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큽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미 각 대학의 논술과 면접 일정이 꽉 차 있어 물리적으로 재시험을 실시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입니다.
교육부, 모니터링만 실시
교육부는 이 사안에 대해 모니터링을 하고 있지만, 개별 대학의 논술고사는 대학이 알아서 하는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다른 대학에서도 비슷한 문제 발생
연세대뿐만 아니라 다른 대학에서도 입학 시험 관리 소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지난 11일 치러진 한성대학교 ICT 디자인학부 실기시험에서 감독관 실수로 사진 자료가 40분 늦게 제공됐습니다. 수험생들의 항의에도 시험 시간은 연장되지 않았고, 한성대는 이 상황을 해당 수험생들의 평가에 반영하기로 결정했습니다.
대입 시험의 공정성 문제,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 할 문제
이번 연세대 논술 시험 논란은 대입 시험의 공정성 문제를 다시 한번 생각하게 만듭니다. 특히 최근 온라인 환경 변화 속에서 시험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대학들은 앞으로 더욱 철저한 시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수험생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
뉴진스 하니, 국감 출석 예정…김 여사 · 명태균 공방
국회 국정감사: 주요 쟁점과 예상되는 논쟁
오늘부터 시작되는 국회 국정감사는 각 상임위원회에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뜨거운 논쟁이 예상됩니다. 특히 대통령실 이전 의혹,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 그리고 여러 사회적 이슈가 집중적으로 거론될 것으로 보입니다.
법제사법위원회: 대통령실 이전 의혹과 '표적 감사' 논란
법제사법위원회는 감사원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하며, 대통령실 이전 의혹과 민주당 전현희 의원의 '표적 감사' 의혹에 대한 여야 간 공방이 예상됩니다. 이는 최근 정치적 논쟁의 핵심 사안으로, 양측의 주장이 팽팽히 맞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김건희 여사 '국악 공연 방문' 논란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한국정책방송원(KTV),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등을 감사 대상으로 삼습니다. 특히 김건희 여사가 지난해 10월 무관중 국악 공연을 방문한 사건과 관련된 논쟁이 예상됩니다. 이는 김 여사의 행보와 관련된 여러 논란 중 하나로,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어떤 식으로 다뤄질지 주목됩니다.
행정안전위원회: 오세훈 시장과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 연관성 추궁
행정안전위원회는 서울시와 서울경찰청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하며, 오세훈 서울시장을 상대로 김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로 지목된 명태균 씨와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추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김 여사와 관련된 의혹이 오세훈 시장에게까지 번지며, 정치적 파장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습니다.
환경노동위원회: 한화오션 중대재해와 '아이돌 따돌림' 문제
환경노동위원회는 정인섭 한화오션 대외협력실장을 불러 대우조선해양 인수 후 발생한 중대재해와 관련된 질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한, 걸그룹 뉴진스의 멤버 하니와 소속사 어도어의 김주영 대표도 '아이돌 따돌림' 문제 등과 관련해 출석할 예정입니다. 이는 산업 현장의 안전 문제와 연예계의 사회적 책임 문제를 다루는 중요한 국정감사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YTN 민영화 의혹과 TBS 출연기관 지정 해제 논란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방송통신위원회를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하며, YTN 민영화 과정에서의 의혹과 TBS의 서울시 출연기관 지정 해제 논란을 두고 여야 간 충돌이 예상됩니다. 이는 방송 매체의 공정성과 독립성을 둘러싼 논쟁으로, 방송통신위원회의 역할과 책임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교육위원회: 의대 증원과 의대생 휴학 승인 문제
교육위원회는 서울대 등 국립대학법인들과 서울대병원, 서울대 치과병원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하며, 의대 증원과 의대생 휴학 승인 관련 질의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는 의료 인력 부족과 의료 교육 현실을 반영하는 중요한 논쟁으로, 교육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어떤 해결책이 제시될지 주목됩니다.